트윈버스 로고
트윈버스 IR 자료 Investment Relations Materials

현실과 가상의 경계를 허무는 미래형 문화 & 비즈니스 융합 플랫폼

$0T+ 총 시장 규모 (TAM)
2,026억원 2034년 목표 매출
500억원 Series A 투자 유치
2,540억원 2034년 기업 가치
156개 국내외 특허 출원
12개국 글로벌 진출 계획

Executive Summary

경영진 요약 & 투자 하이라이트

목차로 이동

투자 목적 & 비전

트윈버스는 현실과 가상의 완벽한 융합을 통한 차세대 글로벌 문화 & 비즈니스 플랫폼을 구축하여, "유튜브를 넘어서는 미래 비즈니스의 기본 플랫폼"이 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Series A 투자 유치 500억원
목표 IRR (7년) 850%
2031년 기업가치 2,540억원

시장 기회

TAM
SAM
SOM

트윈버스 + 전시체험 + AI 비즈니스 + 디지털 트윈 통합 시장

재무 목표

2027년 (흑자전환) 222억원
2030년 매출 761억원
2034년 목표 2,026억원

핵심 자산

  • ✓ 156개 국내외 특허 출원/등록
  • ✓ 10만 평 오프라인 전시체험관
  • ✓ 언리얼 엔진 기반 트윈버스 플랫폼
  • ✓ AI 기반 개인화 시스템
  • ✓ 글로벌 프랜차이즈 네트워크
  • ✓ 빅데이터 분석 플랫폼
총 자산 가치: 7,850억원
무형자산 비율: 75%

Company Overview

회사 개요 & 5대 사업 영역

목차로 이동

트윈버스 체험관 (The Sanctum)

10만 평 규모의 초현실적 전시 공간으로, AI 기반 개인 맞춤형 상영 시스템과 함께 환경 보전 및 미래형 워크스페이스를 통해 지속 가능한 미래를 선도합니다.

2034년 매출 목표 226억원
전체 매출 비중 11%
연간 예상 방문객 250만명

트윈버스 플랫폼

언리얼 엔진 기반 최상위 리얼리티로 구현된 가상 공간에서 다양한 콘텐츠를 창작하고 공유하는 글로벌 커뮤니티입니다.

2034년 매출 목표 477억원
전체 매출 비중 24%
목표 활성 사용자 2,500만명

프랜차이즈 네트워크

전 세계 주요 도시에 트윈버스 체험관을 확산시키는 글로벌 프랜차이즈 모델로, 한국 문화와 혁신 기술을 세계에 전파합니다.

2034년 매출 목표 709억원
전체 매출 비중 35%
목표 지점 수 50개국 200개점

AI 기반 1인 기업

전문가 AI를 고용하여 가상 오피스에서 1인 기업을 운영할 수 있는 혁신적인 비즈니스 환경을 제공합니다.

2034년 매출 목표 278억원
전체 매출 비중 13%
목표 1인 기업 수 12만개

콘텐츠 수주 제작

AI와 전문 크리에이터가 협업하여 기업 맞춤형 콘텐츠, 트윈버스 솔루션, 전시 기획 등 B2B 프리미엄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2034년 매출 목표 336억원
전체 매출 비중 17%
목표 B2B 고객 2,000개 기업

통합 비즈니스 모델

5개 사업 영역이 시너지를 창출하는 통합 생태계로, 각 영역이 상호 보완하며 안정적인 성장을 실현합니다.

2034년 총 매출 2,026억원
순이익률 43%
연평균 성장률 68%

Market Analysis

시장 분석 & 기회 평가

목차로 이동

TAM/SAM/SOM 분석

TAM (Total Addressable Market) $1.85T
트윈버스 + 전시체험 + AI 비즈니스 + 디지털 트윈 통합
SAM (Serviceable Addressable Market) $125B
아시아 태평양 지역 시장
SOM (Serviceable Obtainable Market) $6.8B
목표 시장 점유율 5.4%

시장 성장 동력

  • 🔥 트윈버스 시장 연평균 45% 성장
  • 🚀 AI 비즈니스 솔루션 시장 38% 성장
  • 🎯 개인화 경험 시장 53% 성장
  • 🌍 글로벌 문화 체험 시장 32% 성장
  • 🏢 1인 기업 생태계 67% 성장
트윈버스 타겟 시장 연평균 성장률
47%

타겟 고객층

B2C 개인 고객
· 20-40대 디지털 네이티브 (2,500만명)
· 문화 체험 & 자기계발 관심층
B2B 기업 고객
· 중소기업 & 스타트업 (500만개)
· 디지털 전환 추진 대기업
프랜차이즈 파트너
· 글로벌 투자사 & 부동산 개발사
· 문화 콘텐츠 유통업체

시장 기회 요인

기술 발전
VR/AR 기술 성숙, 5G 상용화, AI 모델 고도화
사회 변화
원격근무 확산, 1인 기업 증가, 개인화 니즈 증대
한류 확산
K-컬처 글로벌 인기, 한국 기술력 인정
정책 지원
정부 트윈버스 육성 정책, 디지털 뉴딜 정책

Competitive Landscape

경쟁 환경 & 포지셔닝

목차로 이동

경쟁 우위 요소

🏆 기술 융합
AI + 트윈버스 + 디지털 트윈 +
  오프라인 체험관의 완전한 융합
🇰🇷 한국 문화 특화
K-컬처 DNA 기반 글로벌 차별화 콘텐츠
🔬 특허 포트폴리오
156개 국내외 특허로 기술 독점권 확보
⚡ 퍼스트 무버
현실-가상 융합 체험관 세계 최초 구현

주요 경쟁사 분석

Youtube (비디오 플랫폼)
강점: 세계 최대 동영상 플랫폼(월간 25억+ MAU), 글로벌 크리에이터 생태계, AI 추천·광고 수익 모델, Google 인프라 기반 확장성
약점: 실시간·몰입형 인터랙티브 콘텐츠(메타버스/XR) 구현 한계, 오프라인 연계 및 커뮤니티 경험 제한
Meta (메타)
강점: 글로벌 메타버스 선도 기업(월간 4억+ MAU, Meta Quest 등 하드웨어 생태계 보유), 대규모 투자(연 100억 달러 이상), AI·XR·소셜 네트워크 통합 역량, 글로벌 파트너십 및 R&D 인프라
약점: 개인정보 보호 이슈, 메타버스 수익화 한계, 아시아·한국 문화 적응력 부족, 오프라인 연계 서비스 미흡, 최근 비용 구조 악화
Calyverse (칼리버스)
강점: 대기업 자본력, 유통·오프라인 연계, 자체 NFT·결제 시스템
약점: 글로벌 확장 경험 부족, 사용자 기반 성장 초기 단계
ZEPETO (제페토)
강점: 아시아 최대 메타버스, 4억명 가입자, 아바타·패션·K-컬처 강점
약점: B2B 활용 한계, 고품질 비즈니스 콘텐츠 부족
Roblox (로블록스)
강점: 세계 최대 UGC(사용자 생성 콘텐츠) 메타버스, 2억+ MAU, 13세 이하 글로벌 점유율 1위, 자체 경제 시스템(로벅스), 개발자 생태계 활성화, 교육·엔터테인먼트 융합
약점: 고품질 비즈니스 콘텐츠 부족, 성인·B2B 시장 진출 한계, 그래픽 품질 한계, 콘텐츠 검증·안전성 이슈, 수익구조의 플랫폼 의존성

시장 포지셔닝

시장 점유율 목표 (2030) 8.5%
세계 시장 점유율 목표 10%
한국 시장 점유율 목표 35%
포지셔닝 전략
"현실과 가상을 융합한 K-컬처 글로벌 플랫폼"

진입 장벽

기술 장벽
AI + 트윈버스 + 디지털 트윈 융합 기술의
  높은 진입 장벽
자본 장벽
10여만 평의 체험관 구축을 위한
  대규모 초기 투자 필요
문화 장벽
한국 문화 이해와 글로벌 전파
  노하우 필요
네트워크 장벽
프랜차이즈 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글로벌 파트너십 필요

Technology & IP

기술 우위 & 특허 포트폴리오

목차로 이동

AI 기술 스택

멀티모달 AI
GPT-4o + Claude-3.5 + Gemini-1.5 +
  자체 KoLLM
전문가 AI 시스템
50개 도메인 특화, RAG 기반
  실시간 학습
한국어 특화 NLP
KoBERT-v3 + 자체 Ko-Instruct
  모델
실시간 처리 엔진
30fps 멀티모달 분석, 0.1초 응답시간

트윈버스 기술

언리얼 엔진 5
실시간 레이트레이싱, 나나이트, 루멘 기술
디지털 트윈
물리-가상 공간 실시간 동기화
클라우드 렌더링
AWS/Azure 기반 분산 렌더링
VR/AR 최적화
Quest 3, Vision Pro, HoloLens 지원

특허 포트폴리오

국내 특허 출원/등록 50개
해외 특허 출원/등록 45개
PCT 국제 출원 20개
총 특허 가치 1,000억원
핵심 특허 분야
AI 기반 콘텐츠 제작, 트윈버스-현실 연동,
  개인 맞춤형 전시, 전문가 AI 고용,
  글로벌 프랜차이즈

기술 로드맵

2025-2027: 기반 기술 완성
AI 모델 고도화, 트윈버스 플랫폼 구축
2028-2030: 글로벌 확장
다국어 지원, 현지화 기술 개발
2031-2034: 차세대 기술
AGI 통합,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2035+: 미래 기술
홀로그램 기술, 감각 전송 기술

Risk Analysis

위험 분석 & 대응 전략

목차로 이동

주요 위험 요소

⚠️ 기술 위험
AI 기술 발전 속도 변화,
  트윈버스 기술 표준 미확립
위험도: 중간
⚡ 시장 위험
경기 침체, 투자 심리 위축,
  트윈버스 시장 성장 둔화
위험도: 중간
🏢 경쟁 위험
빅테크 기업의 시장 진입,
  유사 서비스 등장
위험도: 높음
💰 재무 위험
대규모 초기 투자, 현금 흐름 관리,
  자금 조달 어려움
위험도: 중간

위험 대응 전략

기술 위험 대응
• 다중 기술 스택 확보로 기술 의존도 분산
• 자체 R&D 역량 강화 및 오픈소스 활용
• 글로벌 기술 파트너십 구축
시장 위험 대응
• 다각화된 수익 모델로 시장 변동성 완충
• 글로벌 시장 진출로 지역별 위험 분산
• 경기 방어적 B2B 사업 강화
경쟁 위험 대응
• 차별화된 K-컬처 콘텐츠로 경쟁 우위 확보
• 특허 포트폴리오 강화로 기술 독점권 확보
• 퍼스트 무버 어드밴티지 극대화
재무 위험 대응
• 단계별 투자로 자금 효율성 극대화
• 다양한 자금 조달 채널 확보
• 보수적 현금 관리 정책

민감도 분석

시나리오별 2034년 매출 전망
최적 시나리오 (+20%) 2,431억원
기본 시나리오 2,026억원
비관 시나리오 (-30%) 1,418억원
핵심 영향 요소
• 글로벌 확장 속도 (±25% 매출 영향)
• 사용자 증가율 (±20% 매출 영향)
• 경쟁 강도 (±15% 매출 영향)

비상 계획

Plan A: 정상 성장
모든 사업 영역 동시 확장,
  글로벌 프랜차이즈 적극 추진
Plan B: 보수적 성장
국내 시장 집중, 핵심 사업 위주
  선택적 투자
Plan C: 방어 모드
비핵심 사업 축소, 현금 보존 우선,
  M&A 또는 전략적 제휴 추진
위기 대응 체계
분기별 위험 평가 → 즉시 대응 →
  전략 수정 → 실행

Management Team

경영진 & 최적화된 조직 구조

목차로 이동

핵심 경영진

CEO & Founder
• 전략적비전 수립 / 운영 리더십
• 글로벌시장 진출 및 사업확장 전문성
• 투자유치 및 이해관계자 관리경험
• 혁신 기업 창업 및 성장 경험 필수
CTO (최고기술책임자)
• 트윈버스 기술 아키텍처 설계 전문성
• 대규모 분산시스템 구축 및 운영경험
• 개발팀 리더십 및 기술전략 수립능력
• 신기술 도입 및 특허 확보 경험 필수
CFO (최고재무책임자)
• 재무계획 수립 및 자금조달 전문성
• IPO준비 및 투자자 관계관리 경험
• 리스크관리 및 내부통제 시스템구축
• 글로벌 재무운영 및 세무최적화 능력
CMO (최고마케팅책임자)
• 전략수립 및 글로벌마케팅 전문성
• 콘텐츠기획 및 크리에이티브 감각
• 디지털마케팅 및 소셜미디어 전략
• 다문화이해 및 현지화 전략수립 능력

효율 극대화 조직 구조

🚀 애자일 조직
• 스쿼드 기반 자율 운영 (8-12명/팀)
• 2주 스프린트 주기 빠른 의사결정
• OKR 기반 목표 관리
🔄 플랫 조직
• 3단계 레이어 (C-Level → 팀리드 → 멤버)
• 의사결정 속도 3배 향상
• 수평적 소통 문화
🤖 AI 강화 운영
• AI 기반 업무 자동화 70%
•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시스템
• 실시간 성과 모니터링
🌐 글로벌 원격
• 15개국 분산팀 24시간 운영
• 디지털 워크스페이스 100%
• 문화 다양성 극대화

거버넌스 체계

이사회 구성
• 총 7명 (창립자 2명 + 투자자 3명 +
  독립이사 2명)
• 분기별 정기 회의, 필요시 임시 소집
• ESG 위원회 별도 운영
투명성 원칙
• 월별 재무 보고서 투자자 공유
• 주요 의사결정 48시간 내 공지
• 리스크 관리 실시간 대시보드
윤리 경영
• 행동 강령 및 윤리 헌장 운영
• 내부 감사 및 컴플라이언스 체계
• 신고자 보호 프로그램

전문 자문진

기술 자문위원회
• AI 분야: 머신러닝 알고리즘 최적화
  및 대화형 AI 시스템 전문성
• 트윈버스: 3D 실시간 렌더링 및
  몰입형 사용자 경험 설계 전문성
• 블록체인: 분산 시스템 아키텍처 및
  토큰 이코노미 설계 전문성
비즈니스 자문위원회
• 글로벌확장: 신흥시장 진출전략 및
  현지화운영 전문성
• 문화산업: 엔터테인먼트 IP 개발 및
  크로스미디어 전략 전문성
• 투자전략: 벤처투자 및 기업가치
  평가 전문성
글로벌 문화 자문단
• 문화 콘텐츠 글로벌 적응 및
  현지화
• 지역별 문화 규제 및 정책 환경
  분석
• 국가별 트렌드 예측 및 시장 기회
  발굴 전문성

성과 기반 보상 체계

스톡옵션 제도
• 전 직원 스톡옵션 부여 (입사 1년 후)
• 성과 연동 추가 부여 (연 2회 평가)
• 4년 베스팅, 1년 클리프
성과급 시스템
• 회사 성과: 매출 목표 달성 시
  연봉의 200%
• 개인 성과: OKR 100% 달성 시
  연봉의 50%
• 팀 성과: 팀 목표 달성 시
  연봉의 30%
성장 지원 제도
• 연간 500만원 교육비 지원
• 글로벌 컨퍼런스 참가비 100% 지원
• 사내 창업 프로그램 운영

리더십 철학

1. 혁신 우선주의
"실패를 두려워하지 말고,
  도전하지 않는 것을 두려워하라"
2. 데이터 기반 의사결정
"직감과 경험도 중요하지만,
  데이터가 진실을 말한다"
3. 고객 중심 사고
"모든 결정의 중심에는 고객의
  진정한 니즈가 있어야 한다"
4. 글로벌 마인드셋
"한국에서 시작하되, 처음부터
  세계를 생각하며 행동한다"
5. 지속가능성 추구
"단기 이익보다 장기 가치 창출과
  사회적 책임을 중시한다"
핵심 가치
혁신(Innovation) • 투명성(Transparency) • 협업(Collaboration) • 성장(Growth)

Growth Strategy

4단계 성장 전략 & 글로벌 확장 로드맵

목차로 이동

Phase 1: 기반 구축 (2025-2027)

핵심 목표
10만 평 플래그십 전시관 완공 및 운영
  • ✓ 트윈버스 플랫폼 베타 서비스 런칭
  • ✓ AI 기반 창작 도구 상용화
  • ✓ 초기 사용자 100만명 확보
  • ✓ 국내 브랜드 인지도 확립
2027년 목표: 매출 222억원, 흑자 전환

Phase 2: 글로벌 확산 (2028-2030)

핵심 목표
15개국 프랜차이즈 허브 구축
  • ✓ 글로벌 사용자 1,000만명 돌파
  • ✓ 1인 기업 플랫폼 5만개 기업 지원
  • ✓ K-컬처 트윈버스 콘텐츠 글로벌 확산
  • ✓ 다국어 지원 및 현지화 완료
2030년 목표: 매출 761억원, 순이익 341억원

Phase 3: 시장 주도 (2031-2034)

핵심 목표
50개국 글로벌 네트워크 완성
  • ✓ 2,500만명 활성 사용자 생태계
  • ✓ 12만개 AI 기반 1인 기업 운영
  • ✓ 업계 리더십 확립
  • ✓ IPO 준비 및 실행
2034년 목표: 매출 2,026억원, 순이익 873억원

Phase 4: 사회 변혁 (2035-2040)

핵심 목표
인류 문명 진화 선도
  • ✓ 트윈버스 일상 생활 플랫폼화
  • ✓ AI 협업 모든 산업 표준화
  • ✓ 가상-현실 융합 사회 시스템
  • ✓ 창의성과 협업 능력 진화
목표: 인류 문명의 새로운 패러다임 제시

Investment Terms

투자 조건 & 수익률 분석

목차로 이동

Series A 투자 조건

투자 규모 500억원
기업 가치 (Pre-money) 750억원
기업 가치 (Post-money) 1,250억원
투자자 지분 40%
우선주 발행 전환우선주
청산 우선권 1x 비참가형

수익률 시나리오

보수적 시나리오
2031년 기업가치 1,800억원
총 수익률 576%
기본 시나리오
2031년 기업가치 2,540억원
총 수익률 850%
낙관적 시나리오
2031년 기업가치 3,500억원
총 수익률 1,200%

투자자 권리 보호

  • ✓ 이사회 참여권 (3석 중 1석)
  • ✓ 정보 제공 청구권 (월차 재무제표)
  • ✓ 반희석화 조항 (완전 래칫)
  • ✓ 우선 매수권 (후속 투자 시)
  • ✓ 공동 매각권 (Exit 시)
  • ✓ 청산 우선권 (1x 비참가형)
투자금 보호
강력한 투자자 보호 조항으로 투자 리스크 최소화

후속 투자 계획

Series B (2028년)
투자 규모 1,200억원
기업가치 6,000억원
Pre-IPO (2030년)
투자 규모 800억원
기업가치 1.5조원
IPO (2031년)
상장 규모 1,000억원
기업가치 2.54조원

Exit Strategy

IPO 전략 & 기업 가치 평가

목차로 이동

IPO 로드맵

2029년: IPO 준비
내부 통제 시스템 구축, 회계 투명성 확보
2030년: 실사 진행
투자은행 선정, 실사 완료, 공모 준비
2031년: KOSDAQ 상장
공모가 25,000원, 시가총액 2.54조원
2032년: KOSPI 이전
대형주 편입, 글로벌 투자자 유치

기업 가치 평가

DCF 모델 (현재가치 할인법)
할인율 (WACC) 12%
기업가치 2.3조원
Multiples 평가 (비교 배수법)
P/E Ratio 25x
기업가치 2.6조원
최종 기업가치
2.54조원
Series A 투자 대비 20.3배

글로벌 상장 계획

2033년: 미국 ADR 상장
NASDAQ 또는 NYSE 예탁증서 상장
2034년: 홍콩 증시 상장
아시아 투자자 접근성 향상
글로벌 인덱스 편입
MSCI Korea, FTSE Korea 편입 예상

투자 성과 요약

투자 기간 7년
총 수익률 850%
연평균 수익률 (IRR) 40%
투자 배수 9.5x
투자 성과
500억원 → 4,750억원

프랜차이즈 계획

글로벌 프랜차이즈 확장 전략

목차로 이동

프랜차이즈 모델

체험관 프랜차이즈
· 초기 투자비: 50억원
· 로열티: 매출의 8%
· 예상 연매출: 100억원
플랫폼 프랜차이즈
· 초기 투자비: 10억원
· 로열티: 매출의 5%
· 예상 연매출: 30억원
마스터 프랜차이즈
· 초기 투자비: 200억원
· 로열티: 매출의 12%
· 예상 연매출: 500억원

글로벌 확장 계획

1단계: 아시아 (2026-2027)
· 일본, 중국, 동남아시아
· 목표: 50개 지점
2단계: 북미/유럽 (2028-2029)
· 미국, 캐나다, 독일, 프랑스
· 목표: 100개 지점
3단계: 전 세계 (2030-2034)
· 중남미,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 목표: 500개 지점

프랜차이즈 수익 모델

프랜차이즈 피 연 300억원
로열티 수익 연 800억원
총 프랜차이즈 수익 연 1,100억원
2034년 목표
전 세계 500개 지점

ESG & Sustainability

글로벌 표준을 선도하는 트윈버스의 ESG 경영 전략

목차로 이동

환경(Environment) 전략

  • 탄소중립 실현: 2030년까지 Scope 1, 2, 3 온실가스 배출량 50% 감축 목표
  • 재생에너지 100% 전환: 글로벌 RE100 캠페인 가입, 데이터센터·전시관 태양광/풍력 도입
  • 친환경 인프라: LEED/GRI 인증 건축, AI 기반 에너지 최적화 시스템 도입
  • 자원순환: 디지털 트윈 기술로 자원 사용량 40% 절감, 폐기물 제로화 추진

사회(Social) 전략

  • 포용적 성장: AI·메타버스 교육 프로그램으로 연 1만명 디지털 인재 양성
  • 지역사회 기여: 매출의 2% 사회공헌, 소외계층 대상 무료 체험관 운영
  • 다양성·포용성: 여성·청년 리더십 확대, 글로벌 인재 30% 이상 채용
  • 고객 데이터 보호: ISO 27001 등 국제 보안 인증, AI 윤리위원회 운영

지배구조(Governance) 전략

  • 투명한 경영: 이사회 내 ESG 위원회 신설, 분기별 ESG 리포트 공개
  • 윤리경영: 글로벌 컴플라이언스(ISO 37001) 준수, 부패방지 교육 100% 이수
  • 주주가치 제고: 장기 인센티브 제도, 이해관계자 소통 강화
  • AI·데이터 거버넌스: AI 알고리즘 투명성, 데이터 편향성 최소화 정책
트윈버스는 UN SDGs(지속가능발전목표) 및 글로벌 ESG 평가기관 기준을 모두 충족하며, 미래 세대를 위한 지속가능한 혁신을 실천합니다.

Financial Analysis

재무 분석 & 성과 예측

목차로 이동

매출 성장 전략

5개 사업 영역의 시너지를 통한 지속적인 매출 성장을 실현합니다.

2027년 매출 222억원
2028년 매출 341억원
2029년 매출 485억원
2030년 매출 761억원
2031년 매출 1,117억원
2032년 매출 1,473억원
2033년 매출 1,838억원
2034년 목표 2,026억원

사업 부문별 매출 비중

2034년 기준 각 사업 영역의 매출 비중과 성장 전략입니다.

프랜차이즈 35% (709억원)
트윈버스 플랫폼 24% (477억원)
콘텐츠 수주 제작 17% (336억원)
AI 비즈니스 13% (278억원)
트윈버스 체험관 11% (226억원)

수익성 분석

높은 수익성과 안정적인 현금 흐름을 통한 지속 가능한 성장을 추구합니다.

2027년 순이익률 39%
2028년 순이익률 39%
2029년 순이익률 41%
2030년 순이익률 45%
2031년 순이익률 46%
2032년 순이익률 45%
2033년 순이익률 45%
2034년 순이익률 43%

투자 수익률 (ROI)

투자자에게 제공하는 우수한 수익률과 가치 창출을 실현합니다.

Series A 투자 (2025년)
투자 금액: 500억원
예상 IRR: 35-45%
Series B 투자 (2027년)
투자 금액: 1,200억원
예상 IRR: 25-35%
IPO (2031년)
기업가치: 2,540억원
총 수익률: 850%

투자 문의

트윈버스와 함께 미래를 만들어가실 투자자를 모십니다

Series A
500억원 투자 유치
IRR 40%
연평균 수익률
9.5x
투자 배수
투자 문의 직접 통화